
[한국연예스포츠신문] 김동기 기자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에서 중소벤처기업 현장조사 브리프를 발간했다. 결과치를 보면 중소벤처기업 10곳 중 8곳은 비대면 시대에 맞춰 기술과 서비스 혁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준비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중진공은 지난 4일, 벤처확인기업 400개사에 비대면 경제·산업 육성과 관련한 의견을 물은 결과 80.8%가 '기술 및 서비스 혁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진공이 기업 현장의 동향과 비대면 분야의 현황 및 특징을 조사 분석한 '중소벤처기업 현장조사 브리프'에 담겼다. 해당 보고서에는 중진공 벤처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비대면 경제·산업 육성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기술, 서비스 혁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절대적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수립된 계획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와 '계획 수립 중'이라는 응답은 각각 17.8%, 34.5%에 그쳤다.
그 이유로는 '투자자금 부족(47.0%)'과 '수요(시장)창출의 불확실성(13.3%)'이 높게 나타났다. 업력이 길고 매출 규모가 커질수록 '전문(대응)인력 부족'에 대한 애로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기술·서비스 도입을 위해 필요한 정부지원 방안으로는 자금 지원 57.8%, 사내 인프라 구축 지원 13.0%, 중소벤처기업 공동 활용 인프라 구축 지원 8.8% 순으로 응답이 높았다.
김학도 이사장은 "중진공은 비대면 분야 창업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과 AI(인공지능) 등 신사업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비롯한 다양한 정책지원으로 중소벤처기업의 비대면 서비스 혁신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